본문 바로가기
기업 분석/한국 주식

클리오(237880) 기업 분석 리포트

by AI투자자 2025. 3. 11.

클리오(237880) 사업 개요

㈜클리오는 색조 화장품을 중심으로 다양한 뷰티 관련 제품을 제조·유통하는 기업입니다. 주요 사업 영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색조 화장품 사업

  • 주요 브랜드:
    • 클리오(CLIO): 전문가용 색조 화장품 브랜드 (대표 제품: 킬커버 쿠션, 젤프레소 아이라이너)
    • 페리페라(Peripera): 10~20대 타깃의 감각적이고 트렌디한 색조 브랜드 (대표 제품: 잉크 더 벨벳 틴트)

2. 스킨케어 사업

  • 주요 브랜드:
    • 구달(goodal): 자연 유래 성분을 활용한 스킨케어 제품 (대표 제품: 청귤 비타C 세럼)
    • 더마토리(Dermatory): 민감성 피부를 위한 더마 코스메틱 브랜드

3. 헤어 & 바디케어 사업

  • 힐링버드(Healing Bird): 헤어 및 바디케어 제품을 전문적으로 개발 (대표 제품: 리프레싱 샴푸, 퍼퓸 핸드크림)

4. 유통 채널 및 글로벌 사업

  • 국내 유통: 올리브영, 면세점, 백화점, 자체 온라인몰
  • 해외 시장: 미국(아마존), 중국(티몰·샤오홍슈), 일본, 동남아 등 적극적인 글로벌 확장

클리오는 색조 화장품을 주력으로 하며, 스킨케어 및 바디케어 시장으로도 포트폴리오를 확장하고 있습니다.


클리오(237880) 투자 포인트

1. 색조 화장품 시장에서의 강력한 브랜드 경쟁력

  • 클리오는 국내 1위 색조 브랜드 중 하나로 자리 잡고 있으며, 클리오(고급형), 페리페라(젊은층 타겟), 구달(스킨케어) 등 브랜드 포트폴리오가 탄탄합니다.
  • 특히 킬커버 쿠션, 페리페라 잉크 벨벳 틴트 등 히트 상품이 많아 브랜드 충성도가 높은 편입니다.

2. H&B스토어 및 온라인 채널에서의 강세

  • 올리브영, 무신사, 네이버 스토어 등 국내 온라인·오프라인 유통망을 적극 활용하여 MZ세대 고객을 공략하고 있습니다.
  • 올리브영 색조 부문 강자로 자리 잡으며, 국내 매출 안정성이 높습니다.

3. 글로벌 시장 확장

  • 중국, 일본, 북미, 동남아 시장으로 확장하며 글로벌 브랜드로 자리매김 중입니다.
  • 특히 미국 아마존에 '킬 커버 쿠션' 런칭(2025년 1월), 중국 티몰·샤오홍슈에서도 판매 확대 등 해외 매출 비중을 지속적으로 늘리고 있습니다.
  • K-뷰티에 대한 관심 증가가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가능성이 큽니다.

4. 수익성 개선 및 안정적인 실적 성장

  • 색조 화장품은 원가율이 낮아 매출이 늘어날수록 영업이익률 개선 효과가 큼.
  • 자체 온라인몰 및 글로벌 DTC(Direct to Consumer) 판매 비중 증가로 마케팅 비용을 줄이며 수익성을 개선하는 전략을 추진 중입니다.
  • 최근 몇 년간 실적이 개선되는 추세이며, 글로벌 시장 확대에 따른 추가 성장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5. ESG 및 친환경 트렌드 대응

  • 클리오는 친환경 패키지, 비건 화장품 등 ESG 경영을 강화하며 소비자 니즈에 부합하는 전략을 펼치고 있습니다.
  • 스킨케어 브랜드 '구달', '더마토리'를 통해 착한 성분, 민감 피부 대응 제품을 확대하는 점도 긍정적입니다.

결론

클리오는 국내 색조 1위 브랜드 경쟁력, 강한 유통망, 글로벌 시장 확대, 수익성 개선 등의 투자 포인트를 갖추고 있습니다. 특히 중국, 미국 등 해외 시장에서의 성과가 주가 상승의 핵심 변수가 될 가능성이 큽니다.


클리오(237880) 재무 분석

1. 성장성 분석

  • 매출액:
    • 2019년 2,504억 원 → 2023년 3,306억 원 (연평균 성장률 7.2%)
    • 2024~2026년 예상 매출액: 3,730억 원 → 4,043억 원 (완만한 성장세)
    • 색조 화장품 중심의 성장, 글로벌 시장 확대가 지속적인 매출 상승을 견인
  • 영업이익:
    • 2019년 186억 원 → 2023년 338억 원 (수익성 개선)
    • 2024~2026년 예상: 370억 원 → 405억 원 (꾸준한 증가 예상)
    • 영업이익률도 2022년 6.56% → 2023년 10.23%로 크게 개선

2. 수익성 분석

  • 영업이익률:
    • 2019년 7.43% → 2023년 10.23% (꾸준히 개선)
    • 2024~2026년 예상: 9.92%~10.02% (두 자릿수 유지)
    • 비용 효율화 및 해외 시장 확대에 따른 수익성 개선 효과
  • 순이익률:
    • 2019년 1.18% → 2023년 8.26% (큰 폭의 개선)
    • 2024~2026년 예상: 8.26%~9.03% (안정적 유지)
    • 영업 외 이익 증가 및 이자 비용 감소로 순이익률 개선

3. 재무 안정성 분석

  • 부채비율:
    • 2019년 62.87% → 2023년 30.82% (안정적)
    • 2024~2026년 예상: 26.65%~25.38% (더욱 낮아질 전망)
    • 무차입 경영 유지, 부채 부담 낮음
  • 이자발생부채:
    • 2019년 290억 원 → 2023년 18억 원 (대폭 감소)
    • 금리 인상에 대한 리스크 적음

4. 주주가치 분석

  • ROE(자기자본이익률):
    • 2019년 2.05% → 2023년 13.71% (수익성 개선)
    • 2026년 예상: 13.28% (두 자릿수 유지)
    • 수익성 증가와 함께 주주가치 상승
  • 배당 정책:
    • 2023년 배당금 400원 (배당수익률 1.3%)
    • 2024~2026년 배당 유지 예상 (400원, 배당수익률 2% 수준)
    • 배당성향은 점차 낮아지며 (25.29% → 19.33%), 성장성 투자와 병행

5. 밸류에이션 분석

  • PER(주가수익비율):
    • 2023년 20.10배 → 2024년 9.91배 (평균 대비 저평가 구간)
    • 실적이 계속 개선된다면 추가적인 상승 여력 있음
  • PBR(주가순자산비율):
    • 2023년 2.52배 → 2026년 예상 1.17배 (저평가 가능성)
    • 기업의 자본 증가 속도 대비 주가가 상대적으로 저렴

결론

클리오는 매출 성장과 수익성 개선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부채비율이 낮고 재무구조가 안정적입니다. 특히 PER, PBR 등 밸류에이션 측면에서 저평가 구간에 있을 가능성이 크며, 해외 시장 확대가 핵심 성장 동력으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다만, 향후 글로벌 시장에서의 성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할 경우 주가 변동성이 있을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클리오(237880) 적정 주가 및 투자 전략

1. 적정 주가 분석

① 밸류에이션 분석 (PER, PBR 기준)

  • 2024년 예상 EPS(주당순이익): 1,881원
  • 2024년 예상 PER: 9.91배
  • 2023년 평균 PER: 20배

적정 주가 (PER 15~20배 적용 시)

  • 보수적 계산: 1,881원 × 15배 = 28,200원
  • 중립적 계산: 1,881원 × 18배 = 33,900원
  • 낙관적 계산: 1,881원 × 20배 = 37,600원

PBR 기준 적정 주가

  • 2024년 예상 BPS: 15,219원
  • 현재 PBR(1.3배) → 1.5~2배 적용 시
    • 15,219원 × 1.5배 = 22,800원
    • 15,219원 × 2.0배 = 30,400원

② 적정 주가 결론

  • 보수적 목표: 23,000원~26,000원
  • 중립적 목표: 28,000원~30,000원
  • 낙관적 목표: 33,000원~37,000원

현재 주가(21,100원) 대비 보수적 목표가에서는 10~25% 상승 여력, 중립적 목표가에서는 30~40% 상승 여력이 있음.


2. 투자 전략

① 매수 전략

  • 저점 매수: 18,000원~20,000원 구간 (기술적 지지선)
  • 돌파 매수: 22,500원 이상에서 추세 전환 확인 후 추가 매수

② 매도 전략

  • 단기 목표: 25,000원~27,000원 (단기 차익 실현)
  • 중기 목표: 30,000원 근처 (PER 15~18배 수준)
  • 장기 보유: 글로벌 매출 성장 여부 확인 후 33,000원 이상까지 보유

③ 리스크 관리

  • 중국 시장 불확실성: 티몰, 샤오홍슈 성과 확인 필요
  • 미국 진출 성과: 아마존 판매량 증가 여부 체크
  • 환율 변동성: 원화 강세 시 해외 매출 영향

결론

현재 주가는 실적 대비 저평가 구간(2024E PER 9.91배, PBR 1.3배)
✅ 단기 목표 25,000원∼27,000원, 중장기 목표 30,000원∼33,000원
매수 구간 18,000~20,000원 / 22,500원 돌파 시 추가 매수 고려
리스크: 해외 시장 성과 및 소비 둔화 여부 지속 체크 필요

단기 반등 구간이므로, 20,000원 근처에서 분할 매수 후 25,000~30,000원 구간에서 일부 차익 실현하는 전략이 유효해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