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업 분석/해외 주식

뉴스케일파워(SMR) 기업 분석 리포트

by AI투자자 2025. 3. 15.

1. 개요

NuScale Power는 미국 기반의 소형모듈원자로(SMR) 기술을 개발하고 상용화하는 기업이다. 기존 대형 원자력 발전소보다 작고 유연한 원자력 발전 솔루션을 제공하며, 탄소중립 시대에 부합하는 친환경 에너지원으로서 주목받고 있다. NuScale Power는 이 분야의 선두주자로 자리 잡고 있다.


2. 주요 제품 및 기술

2.1. NuScale Power Module (NPM)

단일 모듈당 77MWe 출력 가능, 최대 12개 모듈을 조합하여 총 924MWe 확장 가능
자연 순환 냉각 시스템 활용으로 외부 전력 없이도 안전한 냉각 가능
설계 단순화 및 공장 조립 방식 채택 → 건설 비용 및 시간 절감


3. 주요 프로젝트 및 사업 구조

3.1. 미국 유타주 카본프리 파워 프로젝트(CFPP)

유타주 연합 에너지 서비스(UAMPS)와 협력, 6개 모듈(총 462MWe) 설치 계획
미국 최초의 상업용 SMR 발전소로 운영 예정

3.2. 루마니아 SMR 프로젝트

루마니아 정부 협력, 동유럽 최초 SMR 건설 추진
✔ 기존 석탄화력발전소를 SMR로 교체, 총 462MWe 전력 생산 예정
미국 정부 지원으로 러시아 및 중국 영향력 대응

3.3. 국제 협력

GS에너지, 두산에너빌리티, 삼성물산 협력 → 서울대 아시아 최초 민간 에너지탐사센터(E2 센터) 개소
✔ 차세대 고급 원자력 전문가 양성 및 기술 교류 추진


4. 재무 및 시장 전망

📌 최근 2억 달러 규모 보통주 공모 발표 → R&D 및 운영 자본 확보
📌 일부 투자기관, 재무 상태 및 사업 구조 우려로 목표 주가 하향 조정
📌 SMR 시장 선도 기업이지만 상업화 지연 리스크, 비용 초과, 경쟁 심화 등 위험 요소 존재


5. 투자 포인트

5.1. SMR 시장의 성장성과 선도적 위치

💡 기존 대형 원전 대비 안전성·경제성 우수, SMR 시장 급성장 중
💡 미국 최초 SMR 설계 규제 승인(NRC) 기업, 기술적 선점 효과 보유
💡 전 세계 탈탄소 정책 및 에너지 안보 강화 → SMR 도입 수요 급증

5.2. 글로벌 사업 확장 및 정책적 지원

🚀 미국 정부 및 국제 기관 지원 → NuScale SMR 프로젝트 적극 후원
🚀 유럽·아시아 시장 확대 → 루마니아, 폴란드, 일본, 한국 등과 SMR 프로젝트 추진
🚀 탄소중립·전력망 안정성 확보 → 석탄 발전소 대체용으로 SMR 적합

5.3. 경제성 및 비용 절감 효과

💰 모듈형 설계 → 기존 원전 대비 건설 비용 및 기간 대폭 절감
💰 운영·유지보수 비용 절감 → 자연순환 냉각 시스템 적용
💰 소규모 전력망에 적합 → 재생에너지와의 조합 용이, 마이크로그리드·분산형 발전 활용 가능

5.4. 주요 프로젝트 진행 현황

미국 유타주 CFPP: 6개 모듈(총 462MWe) 설치 예정, 미국 최초 상업용 SMR
루마니아 SMR 프로젝트: 동유럽 최초 SMR, 미국 정부 지원 프로젝트
한국·아시아 시장 협력: GS에너지, 두산에너빌리티 등과 연구 및 인프라 구축

5.5. 리스크 및 고려 사항

상업화 지연 가능성 → SMR이 기존 원전 대비 신기술이므로 진행 속도 저하 가능
재무적 불확실성 → 2억 달러 주식 공모 필요할 정도로 초기 투자 부담 존재
경쟁 심화 → 롤스로이스, 테라파워, GE 히타치 등 다양한 기업 SMR 시장 진출


6. 결론

🔎 NuScale Power는 SMR 시장 선도 기업으로, 기술력과 정책적 지원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을 확장하고 있다.
📈 SMR 시장의 성장성과 정책적 지원을 고려할 때, 장기적 성장 가능성이 높다.
⚠ 그러나 상업화 속도 및 재무 안정성 리스크가 존재하므로 신중한 접근 필요
🛠 향후 진행될 프로젝트의 성과가 기업의 장기적 성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뉴스케일파워 손익계산서 분석 (2020~2024년)

1. 매출 성장세

  • 매출 증가 속도: 2020년 0.6M → 2024년 37M로 급격한 성장
  • 매출 증가율:
    • 2021년 → 2022년: +300% (3M → 12M)
    • 2022년 → 2023년: +91.7% (12M → 23M)
    • 2023년 → 2024년: +60.9% (23M → 37M)
  • 매출 성장은 가파르지만, 여전히 규모가 작아 본격적인 상업화 단계에 진입하지 못한 상태.

2. 매출총이익 및 매출원가

  • 2024년 매출총이익: 32M (매출총이익률 86.5% = 32/37)
  • 2023년 매출총이익: 4M (매출총이익률 17.4%)
  • 2024년 급격한 원가 절감: 매출원가(5M)가 전년(19M) 대비 대폭 감소,
    • 이는 기술적 개선 또는 초기 비용 감소 효과로 볼 수 있음.
    • 그러나 향후 규모의 경제를 실현할 수 있을지가 관건.

3. 판관비 & 연구개발비 (비용 구조)

  • 판관비: 지속 증가 (2020년 37M → 2024년 76M)
    • 매출 성장보다 비용 증가 속도가 빠름 → 고정비 부담 증가
  • 연구개발비 (R&D): 2023년(156M) 대비 2024년(47M) 대폭 감소
    • 연구개발 부담이 컸던 2021~2023년을 지나면서 비용 절감 기조
    • 하지만 장기적인 기술 경쟁력 유지가 필요

4. 영업이익 & EBITDA (수익성)

  • 영업이익(Operating Income): 연속 적자
    • 2020년 -159M → 2024년 -139M로 적자 규모 축소
    • 판관비와 R&D 비용을 감안하면 손익분기점(BEP) 도달까지는 아직 먼 상황
  • EBITDA(감가상각 전 영업이익): 2024년 -133M, 2023년 -56M
    • 2023년에 EBITDA가 크게 개선된 것은 연구개발비 절감 영향
    • 2024년 다시 악화된 것은 판관비 증가 때문으로 추정

5. 영업외이익 & 순이익 (최종 손익)

  • 영업외이익 변동이 크며, 2024년 -208M의 손실 발생
    • 전년(2023년 95M)과 비교하면 크게 악화
    • 이 부분은 투자 손실, 이자 비용 증가 등이 원인일 가능성 큼
  • 순이익(NI) 적자 지속
    • 2024년 -137M (적자 확대)
    • 2023년 -58M으로 한때 적자 감소했으나, 2024년 다시 증가

6. 결론: 투자 관점에서의 핵심 포인트

매출 성장 속도는 긍정적이나, 상업화 단계에서 아직 불확실성 존재
매출총이익률이 높아지는 점은 긍정적이나, 고정비 부담이 크고 비용 절감이 필요한 상황
R&D 비용을 줄이고 있지만, 장기적으로 기술경쟁력을 유지할 전략이 필요
영업외이익이 큰 폭으로 변동하며 재무 리스크가 존재
순이익 적자가 지속되고 있어, 추가적인 자금 조달이 필요할 가능성 큼

💡 NuScale Power는 여전히 성장 초기 단계로, 상업화 성공 여부가 핵심 리스크.
💡 향후 연구개발 성과와 원자로 프로젝트 실현 여부가 투자 판단의 중요한 요소.


뉴스케일파워 재무상태표 분석 (2020~2024년)

1. 자산 분석

현금성 자산 증가 (유동성 개선)

  • 2020년 5M → 2024년 407M으로 현금 보유량 급증
  • 2023년(125M) 대비 3배 이상 증가했으며, 이는 자본 조달(주식 발행)과 투자 유치 영향
  • 단기투자(40M) 추가 확보, 유동성 안정성 개선

재고자산 증가 (사업 확장 신호)

  • 2022년까지 재고 0M, 2023년(36M) → 2024년(43M)으로 증가
  • 이는 SMR 원자로 관련 생산 준비 확대 가능성

유형자산·무형자산 변화 없음

  • 유형자산(2M), 무형자산(9M) 규모가 작아 자산의 대부분이 유동성 자산
  • 연구개발(R&D) 중심의 기업 특성 반영

자산총계 증가 (기업 규모 확대)

  • 2020년 47M → 2024년 545M로 증가
  • 2023년(225M) 대비 2배 이상 증가 → 신규 투자 및 자본 조달 영향

2. 부채 분석

차입금(부채) 없음 → 재무 건전성 양호

  • 2021년(14M), 2020년(34M) 차입금 존재했으나 2022년부터 무차입 경영 유지
  • 부채총계 2024년 **92M(총자산 대비 약 16.9%)**로 안정적 수준

매입채무 증가 (사업 확대 신호)

  • 2020년 17M → 2024년 48M으로 증가
  • 이는 공급망 확대와 생산 규모 증가에 따른 비용 증가로 해석 가능

기타부채 일정 수준 유지

  • 2023년 50M → 2024년 43M으로 감소

3. 자본 분석

자본금·자본잉여금 급증 → 주식 발행 통한 자본 조달

  • 2023년 333M → 2024년 996M (3배 증가)
  • 주식 발행(2023년 7,338만 주 → 2024년 9,324만 주)로 대규모 자금 조달
  • 기업이 자금 조달을 위해 추가적인 주식 발행을 지속할 가능성 존재

이익잉여금 적자 지속

  • 2024년 -377M (2023년 -240M에서 적자 확대)
  • 손실 지속으로 이익잉여금이 마이너스지만, 자본 조달로 상쇄 중

자본총계 증가 → 재무구조 개선

  • 2020년 -29M → 2024년 619M으로 큰 폭 개선
  • 2023년(93M) 대비 6배 이상 증가

4. 결론: 투자 관점에서의 핵심 포인트

📌 현금 보유량 증가 & 부채 부담 낮음 → 재무 건전성 개선
📌 재고자산 증가 → 상업화 준비 신호
📌 주식 발행 통한 자본 조달 지속 → 추가 희석 가능성 고려 필요
📌 이익잉여금 적자 지속 → 실적 개선 필요
📌 자산 증가 & 부채 비율 안정적 → 사업 확장 여력 충분

💡 NuScale Power는 대규모 자본 조달을 통해 재무 안정성을 확보했지만, 지속적인 적자와 주식 발행 부담이 남아 있음. 상업화 성공 여부가 핵심 변수!


뉴스케일파워 현금흐름표 분석 (2020~2024년)

1. 영업활동 현금흐름 (Operating Cash Flow, OCF)

📉 영업활동 현금흐름 지속적 적자

  • 2020년 -47M → 2024년 -109M, 적자 지속
  • 2023년 -183M에서 2024년 -109M로 개선되었으나, 여전히 현금 유출이 많음
  • 매출 증가에도 불구하고 영업이익 적자가 지속되며 현금창출력이 부족

2. 투자활동 현금흐름 (Investing Cash Flow, ICF)

📊 2023년 48M 유입 후, 2024년 -40M 유출

  • 2022년(-52M)과 2024년(-40M) 투자 활동에서 자금 유출
  • 2023년 투자활동에서 +48M 유입된 것은 단기 투자 회수 가능성
  • 장기투자 자산이 없고, 유형자산 투자도 적음 → 핵심 투자활동은 제한적

3. 재무활동 현금흐름 (Financing Cash Flow, FCF)

🚀 2024년 430M 조달 → 대규모 자금 확보

  • 2023년(16M) 대비 대폭 증가, 2022년(368M)과 유사한 수준
  • 주식 발행(자본잉여금 증가)으로 대규모 현금 조달 진행
  • 추가적인 자본 조달을 통해 현금 보유량을 늘린 것으로 보임

4. 현금 변동 및 잉여현금흐름 (Free Cash Flow, FCF)

💰 2024년 현금 증가 +281M

  • 2023년 -119M 감소 후 2024년 대폭 증가 (주식 발행 영향)
  • 잉여현금흐름(FCF) 적자 지속: 2024년 -109M (2023년 -185M에서 개선)
  • 자본적 지출(CAPEX) 미미 → 2024년 -0.04M으로 투자 부담 적음

5. 결론: 투자 관점에서의 핵심 포인트

영업활동에서 현금 유출 지속 → 본업에서 현금 창출 못하는 구조
재무활동(주식 발행)으로 현금 확보 → 추가 자금 조달 가능성 고려
투자활동이 제한적 → 신규 투자 확대가 필요할 수 있음
현금 보유량 증가했지만, 상업화 성공 전까지 추가 자금 조달 필요

💡 NuScale Power는 주식 발행을 통해 현금을 확보하며 사업을 지속하고 있지만, 영업활동 적자가 지속되면서 장기적으로 수익성 개선이 필수!


뉴스케일파워(SMR) 적정 주가 및 투자 전략


1. 적정주가 산출

NuScale Power는 현재 적자 지속 중이므로 일반적인 PER(주가수익비율) 기반의 밸류에이션이 어렵다. 대신, PSR(주가매출비율) 및 미래 성장성을 고려한 접근이 필요함.

(1) PSR(주가매출비율) 기준 적정주가

📌 2024년 예상 매출: 약 $37M
📌 PSR(유사 원전기업 평균): 10~15배 적용 (고성장주 기준)
📌 적정 시가총액:

  • 보수적 접근 (PSR 10배)$370M
  • 성장성 반영 (PSR 15배)$555M
    📌 적정 주가(주식수 93.24M주 기준)
  • 보수적 접근: $3.97
  • 성장성 반영: $5.95

현재 주가($17.51)가 PSR 기준 적정주가($3.97~$5.95)보다 상당히 높은 상태로, 시장에서는 미래 성장성을 반영하여 거래되고 있음.

실적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고평가 부담이 커질 수 있음.


2. 투자전략

(1) 단기 투자 전략 (트레이딩 관점)

주요 매매 구간

  • 지지선: $13~$15 근처(강한 매수세 예상)
  • 저항선: $23~$25(돌파 여부 중요)
  • 현재 하락 조정 후 기술적 반등 가능성이 있음
  • 단기 모멘텀: 미국 정부 정책 지원, SMR 관련 뉴스

📌 전략:

  • $13~$15 근처 분할 매수 → $23 돌파 시 부분 매도
  • 주가 변동성 클 가능성 있음 → 손절라인 $12 설정

(2) 장기 투자 전략 (가치투자 관점)

핵심 체크 포인트

  • SMR 상업화 진행 여부 (현재 적자 지속 중)
  • 추가 자금 조달 여부 (주식 희석 가능성)
  • 미국 및 글로벌 원전 정책 (정부 보조금 지원 여부)
  • 2026~2027년 손익분기점(BEP) 도달 가능성

📌 전략:

  • 장기적으로 $10~$13 구간 분할 매수 후 $30 이상 목표로 보유
  • 사업 진행 상황 모니터링하며 변동성 대응 필요
  • SMR 시장이 본격적으로 개화할 2027년 이후까지 장기 보유 가능성 고려

3. 결론: 투자 의견 요약

📌 단기 트레이딩: $13~$15 근처 매수 → $23 저항 돌파 시 익절
📌 장기 투자: $10~$13 분할 매수 후, 2027년까지 성장 확인 후 보유
📌 핵심 리스크: 지속 적자, 추가 주식 발행 가능성, 원전 정책 변화

💡 NuScale Power는 SMR 시장 선도 기업으로 성장 기대감이 반영된 주가 흐름을 보이고 있으나, 현재 실적 기준으로는 고평가 상태이므로 신중한 접근이 필요! 🚀